ISSN 1738-0391(Print) / 2713-9662(Online)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Vol.28. no.3 (2024)
pp.1~16
노후불안, 노후생활 준비 및 노후 생활지원 요구와 은퇴 후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 일본 은퇴자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은퇴자 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은퇴 전후의 노후불안, 노후생활 준비, 노후 생활지원 요구를 파악하 고, 이런 요소들이 은퇴 후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분석 자료는 일본 전국 60세 이상 74세의 은퇴자를 대상으로 조사된 것이며 분석에는 1,257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불안 요인 중 남성과 여성 모두 수입과 저축, 생활비 부족 등의 경제적인 면에서의 노후불안이 다른 노후불안 요소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경향은 특히 남성에서 더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입과 저축, 생활비 부족 등의 경제적인 면에서의 노후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남성과 여성의 은퇴 후 생활만족도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생활 준비의 측면을 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경제적 기반에 대한 준비 점수가 클수록 은퇴 후 생활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은퇴 후 노후 생활지원 요구의 영향에 대해서는 남성의 경우에, 은퇴 후 재고용 및 재취업 기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할수록 은퇴 후 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은퇴 이후의 시기에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지역사회참여 프로그램 및 취업연계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Effect of Retirement Anxiety, Retirement Life Preparation and Post-retirement retirement needs on Life Satisfaction in Retirement - Focusing on Japanese Retiree Survey Data -
In this study, we used survey data from Japanese retirees to determine the levels of retirement anxiety, retirement life preparation and retirement life needs in retirement and analyzed how these factors affect post-retirement life satisfaction. The analysis was based on a survey of retirees aged 60 to 74 across Japan, with data from 1,257 peopl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both men and women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retirement anxiety in terms of economic aspects, such as lack of income, savings, and living expenses, than other forms of retirement anxiety. This trend was more pronounced among men.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retirement anxiety in terms of economic aspects, the low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retirement for both men and women. Third, in terms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life, greater preparation for the economic aspects of retirement life corresponded to higher life satisfaction for both genders. Finally,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post-retirement life requirements, it was found that men who perceived a greater need for re-employment and re-employment opportunities experienced lower levels of post-retirement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community participation programs and employment-linked initiatives to enhance post- retirement life satisfaction.